
내년 2024년부터 6+6 부모 육아휴직제로 달라진다고 합니다. 최대 월 450만원 지급 받을 수 있게 되는 육아휴직 급여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2023년 3+3 부모 육아휴직제 ● 기존 3+3 부모 육아 휴직제는 2022년 1월부로 시행된 제도입니다. ● 생후 12개월 내 영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합니다. ● 3개월동안 지원하며 통상임금의 80%를 지급액으로 지원하며 월 상한액은 인당 최고 200만원에서 300만원입니다. ● 육아휴직급여액 중 일부인 100분의 25는 직장 복귀 6개월 후에 합산하여 일시불 지급합니다. ● 3+3 육아 휴직제가 적용된 기간은 육아휴직 급여 사후지급분 제도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육아휴직 급여 특례 *같은 자녀에 대해 자녀 생후 12개월 내 부모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육아..

요즘 대만 여행 가시는 분들께서 필수로 신청하시는 것이 바로 대만 여행 지원금입니다. 3일 이상 체류하는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추첨해 약 22만원(5,000NTD)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대만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께서는 반드시 신청하셔서 지원금 받아가시기 바라며 조기 마감 될 수도 있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대상 및 기간 / 신청방법 대만 이외 국가의 여권을 소지자로 대만에 입국하여 3~90일간 체류하며 단체 여행에 참여하지 않은 여행객 또는 본국에 기타 단체 장려 보조금을 신청하지 않은 여행업체 2023년 5월 1일 ~ 2025년 6월 30일 (대만 현지 시간 기준) 📍 신청방법 📍 1. 대만 도착 1~7일 전, 이벤트 웹 페이지에 로그인해 관련 정보 입력 2. 소비지원금 종류 선택(전자 바우처 또는 숙박..

저는 매번 온라인 교육을 듣고 온라인 신청을 해서 고용센터에는 안 갔었는데 이번에는 반드시 출석해야하는 4차인데다가 온라인 교육 수강 실패도 한 터라 울적하게 다녀왔습니다. 저의 관할 고용센터는 마산이라 마산고용센터에 다녀왔습니다. 저는 안내 받은 시간인 오전 10시에 맞춰서 갔어요. 역시나 많은 분들이 이미 대기중이셨습니다. 제 뒤로도 계속 오시더라고요. 들어가자마자 안내해주시는 도우미분의 도움을 받아 4번 창구 대기표를 뽑았습니다. 보통 실업급여 수첩 앞 스티커에 보면 담당자 번호가 적혀있으니 참고해서 번호표를 뽑는 것이 좋습니다. 담당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 뽑으면 번호를 다시 뽑고 대기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성인직업심리검사? 온라인 취업특강 수강 실패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3차 실업인정은..

기아에서 출시된 2024년 쏘렌토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최근 현대의 싼타페까지 출시되면서 쏘렌토, 싼타페급의 중형 SUV를 구매하시고자 하는 분들이 어떤 차량을 사야 하는지 많이 고민 중이신데요. 2024 기아 쏘렌토의 핵심 정보들만 정리했습니다. 1. 기본정보 ● 가격 : 3,786 ~ 4,831만원 ● 연료 : 가솔린, 하이브리드 ● 연비 : 복합 13.8~15.7km/l (도심 14~16.6, 고속 13.4~14.6) ● 출력 : 235hp/180hp 합산/엔진 ● 엔진 : I4 싱글터보 ● 구동 : FF, AWD ● 변속 : 자동 6단 쏘렌토 하이브리드 1.6 HEV 가솔린, 하이브리드 15.7km/l , 235hp/180hp , 1,598cc 프레스티지 3,786만원 모의견적 내보기 ➡️ 노..

기아가 레이 전기차 EV모델을 출시한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따라 레이EV에 대한 달라진 부분과 사양들, 그리고 보조금 지원 등에 대해 궁금한 점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 기아 레이EV는 개별 소비세, 교육세,취득세 면제와 경우에 따라 부가세 환급도 가능하다고 하니 반드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기아 레이 EV 기본정보 ● 가격 2,735~2,955만원 ● 연료 전기 ● 주행 205km (1회 충전) ● 연비 복합 5.1km/kWh 도심 6, 고솟4.4 ● 출력 64.3kW 모터 86hp (단순환산치) ● 토크 147Nm 모터 15.0kg.m (단순환산치) ● 용량 35.2kWh 배터리 ● 구동 FF ● 변속 자동1단 ● 충전시간 40 min(150kW 급속충전기, 10~80% 충전 기준) ● 전..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대상자가 확대되면서 4인 가구의 경우 생계급여는 최대 21만 3천 원, 주거 급여는 급지별, 가구원수별로 연간 최대 32만 4천원 증가합니다. 본인이 신청해서 지원받는 만큼 해당되시는 분은 꼭 신청하세요. 1. 소득 기준의 완화 19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6년까지의 기초생활보장 정책인 '제3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 따르면 소득의 범위가 확대됩니다. 생계급여와 주거급여의 소득 기준이 확대되며 이를 통해 각각 21만명, 20만명이 추가로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기초생활 모의계산해보기 1) 생계급여 생계급여란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에게 최저 생활비를 보장하여 일상을 이어나가도록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