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 고양이에게 물렸을때 개나 동물 입안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 후 예방이 필요한 광견병(공수병), 세균 감염, 파상풍과 독성 반응에 의한 중독, 쇼크 등의 응급처치가 중요합니다. 개, 고양이를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물림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출혈이 심하지 않고 피부층 내의 손상이지만, 개의 입과 침 안에 있는 약 60여 종의 세균에 감염되면 인대, 근육, 혈관 또는 신경의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 교상은 개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가 광견병이라고 부르는 것은 일차적으로 동물에게 발생한 질병입니다.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동물(너구리, 여우, 박쥐)이나 사육 동물(개, 고양이)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타액 또는 조직을 다룰 때 눈, 코,..

치석제거술(스케일링)은 치아 표면에서 치태(프라그)와 치석을 제거하는 술식이며, 치근활택술은 치태(프라그)와 치석뿐 아니라 변성된 치아 표면을 일부 제거하여 깨끗한 치근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두 치료는 잇몸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하여 잇몸 건강을 회복시킨다는 점에서 목적이 같으며, 실제로 별개의 치료가 아니라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석은 표면이 거칠고 구멍이 많아 치태(프라그) 세균이 부착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또한 치석에는 치태(프라그) 세균이 생산한 독성물질이 쌓여 있어 잇몸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킵니다. 치근활택술은 독성물질이 축적된 치태(프라그)와 치석을 제거하며 치근면을 매끈하게 만들어 위생 관리를 쉽게 해줍니다. 치석 제거 치료 방법 다양한 형태의 치석제거기를 이용하여..

약시란 영어로 amblyopia라고 하는데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낱말로서 둔한 시력(amblyos: 둔함, opia:시력) 이라는 의미로 영미권에서는 흔히 게으른 눈(lazy eye)이라고 표현합니다. 임상적으로 두 눈에 교정시력 저하(안경교정 후에도 연령에 따른 정상시력보다 낮은 경우)가 있거나 양안의 교정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 나는 경우로 진단하고 다른 안구 내 질환이 없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인 경우에 국한해서 진단합니다. 주로 사시, 부등시, 심한 굴절 이상, 혹은 안검 하수 등에 의하여 시력 발달에 필수적인 적절한 시각적 자극이 어린 시기에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정상아동의 시력발달과정 갓 태어난 신생아의 시력은 모든 것이 어렴풋이 보이는 상태입니다. 생후 1개월에 0.03~0.05의 시력을..

코로나 시대를 지난 우리 아이들의 폐나 호흡기관이 많이 약해졌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어 알고 계시지요?! 그만큼 부모님들의 걱정이 더 커졌는데요. 오늘은 소아 폐렴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 및 일상 속에서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폐렴은 말단세기관지 아래 폐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소아폐렴은 소아에서 관찰되는 폐렴을 말하는데, 성인의 폐렴과는 원인 질환과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소아청소년과 진료에서는 기침이나 가래 등 호흡기증상을 보이면서 발열이 동반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없이 임상적 소아천식이란 진단을 붙이기도 합니다. 대부분 감염성 폐렴인데 연령에 따라 원인 병원체가 다르기에 경과나 결과도 다릅니다. 학동기에는 마이코플라스마 균에 의한 비정형폐렴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상 양상과..

두통은 전체 인구의 70~80%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증상입니다. 두통이 생기면 많은 사람들이 혹시 뇌에 문제가 생긴 게 아닐까 염려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심각한 질병이 원인인 경우는 드뭅니다. 두통의 종류 두통은 크게 다른 원인 없이 생기는 원발두통과 다른 질환에 의해 일어나는 이차두통으로 나눕니다. 원발두통에는 긴장두통, 편두통 및 군발두통이 있고, 이차두통에는 머리나 목의 외상이나 질병에 의한 두통과 약물을 너무 많이 복용했거나(과용) 또는 약물의 갑작스러운 중지로 인한(금단) 두통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주로 원발두통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병원에 방문해야하는 두통의 종류 1. 태어나서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한 가장 심한 두통 2. 50세 이후에 시작된 두통(특히 평소에는 두통이 없었거나, 평소..

변비란? 의학적으로 변비는 배변 횟수의 감소 (주 3회 미만), 단단한 변, 불완전한 배변감, 배변할 때 과도한 힘주기, 항문 폐쇄감, 배변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지조작이 필요한 경우 등으로 정의합니다. 증상은 최소 진단 6개월 전부터 시작되고 지난 3개월 동안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복통이나 더부룩함(bloating)이 있더라도 주 증상이 아니어야 하며, 과민성 장증후군 진단에 부합하지 않아야 합니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이며, 연령이 증가할 수록 그 빈도가 증가하고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변비가 생기는 이유 대장은 기다란 관 모양으로 위치에 따라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구불 결장), 직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길..